나의 건강보험 미환급금 얼마일까

 

 

국가에 내는 세금 중에서 우리가 초과해서 납부 하고 있는 세금이 얼마나 될까요? 본인이 알지 못해서 과납부한 금액이 생각보다 꽤 많다고 합니다.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 발표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찾아가지 못한 본인부담 미환급 건수가 66만건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금액으로 치자면 117억 3916만원에 해당하는 금액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미환급액이 쌓이는 이유는 본인이 얼마나 초과해서 세금을 납부했는지 모르고 있기 때문에 쌓여가는 건데요. 생각보다 많은 세금 분야에서 미환급액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통신환급금, 휴면계좌환급금, 국세환급금, 지방세 환급금 등 다양한 환급금이 있으니 한번 씩 조회해보고 잠들어 있는 미환급금 찾아가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 중에서도 건강보험 미환급금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병원, 의원 또는 약국에서 법령기준을 초과하여 더 많은 금액을 부과했을 경우 본인 부담금을 공단이 요양기관에 지급해야 하는데 이때 진료비용에서 공제하거나 징수를 합니다. 환급제도는 이 때 진료를  받은 분이나 보험 가입자에게 다시 금액을 돌려주는 제도입니다. 직장을 다닐때 자동으로 이체되던 건강보험이 퇴사를 한 후에도 자동으로 납부가 되면서 이중 처리 되는 경우에도 보험료가 잘못 부과됩니다. 이렇게 잘못 부과가 된 건강보험료는 본인이 직접 조회를 해서 찾아가야 합니다. 찾아 갈 수 있는 기한이 3년으로 정해져있으니 미리 꼭 확인하시고 챙기는것이 좋겠습니다. 

 

 

 

기한이 지난 후에는 미환급금액이 소멸시효가 지난 것으로 되어 국가에 귀속이 되게 됩니다. 건강보험공단에서는 환급금을 미처 돌려받지 못하는 일을 막기 위해서 미지급환급금을 돌려주기 위한 안내문을 발송하거나, 기존 계좌에 연계해서 지급을 해주는 등의 방법으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환급금을 찾아가지 않고 있습니다. 

 

 

나의 건강보험 미환급금 조회는 쉽고 간단합니다. 

민원24홈페이지를 통해서 간단하게 조회를 할 수 있습니다. 

 

▶▶▶ 건강보험 미환급금 조회 바로가기

 

민원24 사이트에 접속한 후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면 조회가 가능합니다. 

조회 후 본인이 받을 수 있는 미환급금이 존재한다면 건강보험공단에서 확인 및 신청이 가능합니다. 

 

 

건강보험 미환급금 종류에는 건강보험료 과오납금, 본인부담금 환급금, 본인부담 상한액 초과금, 기타 징수금 과오납금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나의 미환급금 더 알아보기

 

 

 

 

 

 

 

요즘같이 경기가 어려운 시기에 수익보다 나가는 돈만 늘어나는 어려운 경제생활을 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국가에서 환급해주고 있는 다양한 환급금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시고 본인이 받을 수 있는 환급금이 있는지 조회해서 바로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